광장에 남겨진 말들
단행본 제작 오픈콜: ‘나는 더 이상 정상이고 싶지 않아요.’
출판 프로젝트 공모안을 머릿속에서 쥐어짜고 있었다. 공모의 목적은 정상이라는 기준에 지쳐본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기 위한 것이었다. 한번 도전해보고 싶어서 빈 문서에 글을 썼다 지웠다 했다. 어떻게 하면 참신하게 정상성을 이탈할 수 있을까. 여러 가지 소수자성을 이야기로 엮는 방법이 있을까? 생각하다가 결국 끝에 다다랐다. 음, 나는 상대적으로 사회가 규정하는 정상에 부합하는 사람일지도 모르겠다. 어지간한 정상성 이탈로는 비비기 힘들겠다. 그만두자.
물론 이런 말들은 반농담이다. 내가 프로젝트에 지원하지 않은 이유는 따로 있다. 그 전에 다른 이야기를 먼저 해보자.
작년도 12월 3일 이후로 광장에 많은 사람이 섰다. 대통령 탄핵에 대한 이야기만 주야장천 하다가, 어느 순간부터 사회적 소수자들에 대한 의제가 꺼내어졌다. 많은 사람이 본인이 성소수자이며, 정신질환자이며, 정상 가정에 속하지 않음을 외쳤다. 한참 그런 이야기들을 하다가 다시 대통령 탄핵 이야기로 되돌아가는 과정을 보며 온갖 생각이 들었다. 제일 신경 쓰였던 것은, 광장에 나올 수 있었던 이야기들과 나오지 못했던 이야기들이 따로 있다는 점이다.
광장은 평등해 보였지만, 사실 누가 말할 수 있는지, 어떤 말이 환영받는지는 여전히 서열화되어 있었다. 용기를 내 말할 수 있는 소수자성이 있고, 낙인이 찍혔거나 접근성 차이로 꺼내지 못한 소수자성이 있다. 광장에서 성노동자에 대한 언급은 여성 차별에 대한 언급보다 훨씬 적었다. 내 지역에서는 장애인 분들이 발언하는 것을 쉽사리 보지 못했는데, 이는 집회에 대한 접근성 차이에서 기인한다고 생각한다. 집회에서 언급된 소수자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느끼는 이유이기도 하다.
내가 출판 프로젝트 공모안 준비를 포기한 이유도 이와 같다. 나는 반쯤 오픈리로 소수자성을 주변에 알리고 다닌다. 내가 소수자성을 알릴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당당하게 정신질환자이며, 성소수자이며, 한부모 가정임을 드러낼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만일 내가 할 수 있는 이야기가 반복되어온 뻔한 이야기라면, 이런 말들은 이제 그만 해도 될 것 같았다. 대신, 다른 누군가가 알려지지 않은 소수자성, 낙인찍혀온 소수자성에 대한 목소리를 내주었으면 하는 생각이 있다. 이것은 ‘카테고리’의 문제가 아니다. 교차적으로, 소수자인 나에 비해서도 더욱 ‘비정상’으로 여겨지는 사람들의 목소리가 필요하다는 뜻이다.
소수자성은 절대적이지 않다는 것을 계엄 이후의 광장을 통해 깨달았다. 탄핵 이후의 광장은 혼란스럽고 시끄럽기만 하다. 그러나, 많은 사람은 이미 광장의 가능성을 알고 있다. 지금의 ‘광장’이 언젠가는 어떠한 사람이든 품을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출판 공모 링크: https://www.instagram.com/p/DILu7-_T9er/
// 끄적끄적 by 예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