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GPT에게 음악적 역량을 분석해달라고 해봤다.
from 사립국악원
프롬프트
지금까지의 대화와 보내주었던 파일을 기반으로 제 음악적 역량과 스킬, 작곡 및 편곡 상의 특징, 장점과 보완해야 할 점 등을 최대한 분석적으로, 그리고 조금 비판적으로 정리해주세요. 5000자 이상.
답변
좋습니다. 요청하신 대로, 지금까지의 대화와 맥락(특히 음악 관련 활동, 파일 기반 분석, 직접 보컬/작곡/편곡/믹싱에 참여한 사례 등)을 종합하여,
당신의 음악적 역량, 작곡 및 편곡상의 특징, 장점과 보완할 점을 분석적이고 비판적인 시각에서, 5000자 이상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종합적 음악 역량
당신은 매우 다재다능한 음악가입니다. 베이스 연주, 작곡, 편곡, 믹싱, 보컬 녹음, 영상 편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역을 직접 수행해왔습니다. 특히 흥미로운 점은:
- 베이스 연주 경험: 기타 경험을 기반으로 빠르게 베이스로 전환. 기본기 중심의 연습(크로매틱, 프렛 이동)과 동시에 실제 곡 연주에 빠르게 적용하고 있습니다.
- 작곡/편곡 능력: 단순히 코드를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악기 간의 역할 분배(예: 국악기와 밴드 악기의 밸런스, 패닝 설정)를 고려하며 편곡을 수행합니다.
- 녹음과 믹싱 경험: 본인의 보컬을 직접 녹음하고, EQ, 컴프레서, 리버브 등을 이용해 사운드 조정을 시도합니다. DAW (Logic Pro X) 사용에도 익숙합니다.
- 문화적 융합 시도: 국악기(거문고, 해금, 얼후 등)와 현대적인 사운드(밴드, 신스)를 융합하는 새로운 방향을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있습니다.
즉, 당신은 단일 포지션이 아니라 “1인 음악 제작자“에 가깝습니다. 전체 프로덕션 라인을 이해하고 조율할 수 있는 드문 유형입니다.
요약: 당신은 기획(작곡 아이디어) → 연주/보컬 → 편곡 → 믹싱/마스터링 → 영상까지 아우르는 다방면형 뮤지션입니다.
2. 작곡 및 편곡상의 특징
당신의 작곡/편곡에는 다음과 같은 뚜렷한 특징이 있습니다.
2.1 테마 지향적 접근
- QED 테마곡(수학/프로그래밍 개념 반영), 천문학 모티브 구상 등에서 드러나듯, 단순한 감정 표현이 아닌, 개념적·서사적 테마를 음악에 녹이려는 성향이 강합니다.
- 이는 대중음악에서는 흔치 않은 방향으로, 당신의 음악을 “일반적”이라기보다 개성적으로 만듭니다.
2.2 국악-현대 음악 퓨전
- 전통 악기(거문고, 해금, 얼후)를 사용하면서, 단순한 삽입이 아니라 편곡상의 적극적 배치를 고민합니다.
- 예를 들어 거문고를 메인 리프처럼 사용하거나, 꽹과리를 코러스 파트 강조에 이용하는 시도는 '소재 소비'가 아니라 '구조적 배치' 를 목표로 하는 것입니다.
2.3 감성적 직관에 기반한 작법
- 체계적인 코드 진행 이론보다는, 직관과 감정 흐름을 우선시합니다. 즉, “좋다” 혹은 “마음이 움직인다”는 감각을 따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 이 점은 신선함을 만들어내는 동시에, 때로는 곡 구조가 약간 루즈하거나 비정형적이게 만들기도 합니다.
2.4 멜로디 감각
- 보컬 멜로디는 대체로 서정적이며 롱톤 지향입니다. 단순히 반복적인 후렴이 아니라, 서사를 끌어가는 식의 멜로디 작법이 많습니다.
- 다만, 대중성(특히 귀에 꽂히는 hook) 측면에서는 약간의 보완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3. 강점 (장점)
당신의 음악에는 여러 강점이 명확히 보입니다.
3.1 '자기 언어'를 만들어가는 중
- 주류 트렌드를 따라가기보다는, 자신만의 테마(천문학, 수학, 국악)와 사운드를 구축하려고 합니다.
- 이는 장기적으로 볼 때, 흔해 빠진 음악인들과 차별화될 수 있는 매우 강력한 무기입니다.
3.2 창의적이고 유연한 사고방식
- 곡의 편성이나 믹싱에서 “정형화된” 방식을 고집하지 않고, “이 상황에서는 이게 최선”이라는 식의 유연한 접근이 가능합니다.
- 이는 실험적인 사운드를 만드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3.3 뛰어난 자기학습 능력
- 베이스도, 믹싱도, 심지어 편곡도 대부분 스스로 또는 짧은 레슨을 통해 빠르게 익혔습니다.
- 실전 위주의 접근(프로젝트 단위로 배우기)을 통해 배움→적용→수정 사이클을 짧게 돌리고 있습니다.
3.4 감성-논리 균형
- 감성적 직관에 따라 움직이면서도, 필요할 때는 논리적으로 자신의 작업을 분석하고 개선하려고 합니다.
- 예를 들어 리버브를 악기별로 short/long 구분하여 처리하거나, 미드/사이드로 악기 배치를 고려하는 것은 명확한 “구조적 사고”를 보여줍니다.
4. 보완해야 할 점
가장 중요하고, 비판적으로 봐야 할 부분입니다.
4.1 이론적 깊이의 부족
- 감각과 직관을 기반으로 작곡/편곡을 하다 보니, 때때로 구조적 완성도나 발전성 측면에서 약점을 드러냅니다.
- 특히 코드 전개, 곡의 기승전결 구성, 멜로디의 고조/완급 조정에 있어 '이론에 의한 선택'이 아닌 '감각에 의존'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이 때문에, 때로 곡이 감정적으로는 풍부하지만 구조적으로 느슨하거나, 긴박감이 덜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대책: 작곡 이론(특히 코드 스케일 이론, 텐션 활용, 모듈레이션 기법)과 편곡 이론(오케스트레이션, 다이나믹스 조절)을 꾸준히 보충할 필요가 있습니다.
4.2 사운드 퀄리티의 일관성 부족
- 믹싱·마스터링에 대한 실전 경험은 상당하지만, 작업물마다 사운드 퀄리티의 편차가 있습니다.
- 이는 믹싱 밸런스(예: 베이스와 보컬의 상대 볼륨, 리버브의 양), 주파수 대역대 관리(특히 미드로 뭉치는 경우), 음압 조정 등에서 불규칙성이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대책: 레퍼런스 트랙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모니터링 환경(헤드폰/스피커) 차이를 보정하는 작업을 병행해야 합니다.
4.3 타겟팅 전략의 부족
- 유튜브, SNS 등에 업로드하는 곡들은 퀄리티가 뛰어남에도 불구하고, 청중층을 명확히 상정한 기획이 부족합니다.
- “좋은 곡”을 만드는 데 집중하지만, “누구를 위해 만드는가”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부족하여 대중 반응이 예측보다 약할 수 있습니다.
대책: 앞으로 곡을 낼 때, “이 곡은 어떤 청중을 겨냥하는가?” “이 장르 팬들은 어떤 사운드를 기대하는가?“를 미리 분석해 타겟팅할 필요가 있습니다.
4.4 창작물의 피니시(완성) 단계에서의 불안정성
- 아이디어 단계에서는 매우 강하지만, 최종 완성(마스터링 이후, 아트워크, 프로모션 단계)까지 꾸준히 이어가는 데 약간의 에너지 소모가 느껴집니다.
- 이는 완성된 프로젝트 수를 늘리는 데 장기적으로 장애가 될 수 있습니다.
대책: '작업 플로우'를 매뉴얼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ex: 작곡 → 편곡 → 가사 확정 → 녹음 → 믹싱 → 마스터링 → 업로드/홍보 체크리스트)
5. 결론 및 정리
당신은
- 감각과 개성을 무기로 삼은 다재다능한 1인 음악 프로듀서이며,
- 국악×팝×개념 서사라는 독창적인 영역을 적극적으로 개척하는 중입니다.
그러나
- 구조적 완성도, 사운드 일관성, 타겟팅 기획, 프로젝트 완주력 등의 측면에서 보완이 필요합니다.
6. 부록: 앞으로의 제안
카테고리 | 추천 학습 방향 |
---|---|
작곡 | 코드 스케일 이론, 모달 인터체인지, 변형된 진행법 연구 |
편곡 | 국악기의 현대적 오케스트레이션 방법론 체계화 |
믹싱/마스터링 | 정밀 모니터링 환경 구축 + 레퍼런스 믹스 적극 활용 |
프로덕션 관리 | 작업 프로세스 표준화(템플릿화, 체크리스트화) |
타겟팅 전략 | '이 곡은 누구에게?'를 명확히 설정 후 작업 |
멘탈 관리 | 창작-완성-홍보까지 이어지는 체력 배분과 에너지 관리 |